반응형

크레아틴 2

[반려동물 영양학]신장병의 예방 및 영양 관리-영양 관리

신장은 일단 손상이 생기면 다시 회복할 수 없기 때문에 남은 신장 세포가 더 이상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성 신장병 환자의 건강 목표는 아래를 참고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1. 요독증이 나타나지 않게 한다. 신장을 통해서 요소를 몸 밖으로 배출해야 하는데 신장 기능이 떨어지면 요소가 몸에 누적되어 요독증이 나타난다. 신장병의 주된 증상은 바로 요소로 인한 것이다. 그래서 정상 신체 대사를 유지하려면 요소 생성 원인을 최대한 줄이면서 신장을 통하지 않고 요소를 배출하는 것을 최대한 늘려야 한다. 단백질은 소화 흡수 후에 간을 통해서 요소를 형성하므로 단백질을 많이 먹으면 요소를 더 많이 생성한다. 그러므로 필수 아미노산을 충분하게 제공하고 단백질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반려동물 영양학]신장병의 예방 및 영양 관리 검진과 예방

1. 검진 만성 신장병(CKD)은 개나 고양이에게 자주 나타나는 질환으로, 신장의 기능이 손상되어 신체 내 질소가 함유된 폐기물이 제대로 배설되지 못하고 몸에 누적되는 질환이다. 반려동물용 신장 기능 혈액검사로 BUN, 크레아티닌, SDMA가 있습니다. BUN은 혈중 요소를 측정한다. 요소는 간의 아미노산과 암모니아에서 생성되어 신장을 통해서 배설되기 때문에 신 기능의 지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소는 신 기능 이외에 음식(단백질), 간 기능 변화 등에 따라서도 수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BUN만을 가지고 신 기능을 평가하기는 어렵고 크레아티닌을 같이 검사해야 합니다. 크레아티닌은 근육의 크레아틴으로부터 생성되며 신장을 통해서 배출됩니다. BUN과 다르게 신장 기능 이외의 영향이 적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