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반려동물 영양학

[반려동물 영양학]결석의 개요와 발생 빈도

Informan 2022. 5. 18. 11:05
반응형

1. 개요

- 비뇨기 결석: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 비뇨관 내에 형성된 결석. 칼슘 옥살레이트 스트루바이트 두 종류가 가장 자주 발생합니다. 신체 대사와 감염 상태에 따라 생길 수 있는 결석이 다르고 치료 및 예방하는 방식도 다릅니다.

- 요 결정: 정상 상태에서도 요에서 결정을 볼 수 있지만, 음식과 신체 대사에 따라 특정한 미네랄이 많이 배설되면 특수한 결정이 나타납니다. 요 결정이 있다고 하여 꼭 결석이 생기지는 않지만 결정이 생겼다면 요 중 특정 성분의 함량이 많기 때문에 결석이 생길 가능성이 큽니다. 비뇨기 결석이 생겼을 때 수의사가 요에 있는 결정을 통해서 결석의 종류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 요 pH: 요의 산도입니다. 음식과 신체 대사가 요의 산도에 영향을 주고 요의 산도에 따라서 생길 수 있는 결석이 다르기 때문에 수의사가 요의 산도와 요 중 함유된 결정 결과를 통해서 결석의 성분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요 비중: 요의 농도를 표시하는 방식입니다. 요 비중이 높으면 요에 미네랄 등의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요의 비중이 높으면 높을수록 결정과 결석이 더 쉽게 나타나게 됩니다. 결석을 예방하고 싶으면 물을 많이 마셔서 요의 비중을 감소시키면 되지만 반려동물의 급수량을 증가하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2. 발생 빈도

비뇨기 결석은 개나 고양이에게 자주 발생하는 질병으로, 생활 방식과 음식 때문에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바른생활 방식과 음식 관리를 통해서 결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결석 예방 방식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왜 결석이 생기는지를 이해해야 합니다. 사람의 결석도 마찬가지로 결석이 생길 수 있는 '적합한 환경'이 만들어져야 결석이 형성됩니다. 요 비중이 높거나 특정 결석에 들어 있는 성분이 많으면서 특정 결석이 생기기 쉬운 산도여야 결석이 생기게 됩니다.

반려동물에서 자주 발견되는 결석은 칼슘 옥살레이트, 스트루바이트, 시스틴, 유레이트 등이 있습니다. 동물병원에서 분석된 결석은 수술을 통해서 방광에서 제거되거나 일부 결석은 배뇨 시에 저절로 배출되게 됩니다.

스트루바이트 결석은 유일하게 음식 관리로 용해할 수 있는 결석입니다. 수술을 통해서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통계상의 실제 환자 수보다 적게 나타납니다. 우리나라 동물병원은 아직 신장 결석을 충격파나 수술 치료로 제거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분석 결과상에는 신장 결석이 없고 방광과 요도에 있는 결석만 나타나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결석의 발생 결과를 살펴보면은 요크셔 테이러, 푸들, 시추 등 소형견에 결석이 더 많이 발견됩니다. 중성화된 암컷 개에게는 스트루바이트 결석이 많이 나타나고 있고, 중성화된 수컷 개는 칼슘 옥살레이트 결석이 더 많이 생깁니다. 고양이의 경우 두 살에서 일곱 살 사이의 암컷은 스트루바이트 결석의 위험도가 더 높고, 여덣 살 이상과 수컷 고양이에게는 칼슘 옥살레이트 결석이 더 많이 생기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