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자격정보]전기공사기사 필기 및 실기 시험 합격률, 난이도

Informan 2022. 6. 16. 16:56
반응형

전기공사기사 자격증은 건설현장이나 토목공사 현장에서 전기공사를 시공관리를 하거나 공기업 등에서 가산점을 받고 전기 관련 업무에 종사할 수 있습니다. 취업에 도움이 되는 자격증이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취득하려고 하는 자격증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공사기사 시험에 대해서 알아보고 필기, 실기 합격률과 난이도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시험 정보

 

 

1. 시험과목
필기: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전력공학, 전기기기,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전기설비기술기준
실기: 전기설비 견적 및 시공

2. 시험방법
필기: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필답형(2시간 30분)

3. 합격기준
필기: 100점 만점 기준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100점 만점 기준 60점 이상 

 

필기 합격률

 

 

전기공사기사 필기의 합격률은 30~60% 정도 됩니다. 2021년에는 52.2%로 매우 높은 합격률을 기록했습니다.

합격률을 보시면 약간의 변동은 있지만 합격률이 조금씩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22년 이후에도 아마 40~50% 정도의 합격률을 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연도
필기
응시 합격 합격률(%)
2021 17,055 8,906 52.20%
2020 8,869 4,904 55.30%
2019 12,263 5,227 42.60%
2018 9,430 3,462 36.70%
2017 10,743 4,503 41.90%
2016 9,407 3,383 36%

 

필기 난이도

 

 

전기공사기사 필기시험은 다른 기사 자격증과 비교했을 때 난이도가 평이한 편입니다. 매우 어렵지도 않고 마냥 쉽지만도 않습니다.

 

하지만 5과목 중에서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과목은 대학에서도 거의 다루지 않는 분야라 많은 시간을 공부해야 하고 체감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문제은행식 출제로 문제가 출제되고 있으며 기존의 기출문제가 약간 변형되거나 문장의 일부가 그대로 사용되는 출제방식임으로 기출문제 풀이 위주로 전년도 포함 많은 기출문제를 보게 된다면 무난하게 합격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전기기사 자격증을 소지한다면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과목 외의 모든 과목이 면제가되어서 조금은 더 수월하게 공부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반응형

 

실기 합격률

 

 

 

전기공사기사 실기의 합격률은 20~60% 정도입니다. 2021년에는 42.3%라는 평이한 합격률을 보였습니다.

 

전반적으로 필기시험보다 약간 낮은 합격률을 보입니다.

매해 변동폭도 매우 큰 편이고 상승하는 것 같아보이지만 그렇게 많은 차이가 있는 것 같지 않습니다.

 

연도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2021 10,658 4,508 42.30%
2020 6,666 3,904 58.60%
2019 6,338 1,852 29.20%
2018 4,655 2,162 46.40%
2017 5,287 1,974 37.30%
2016 4,357 1,920 44.10%

 

 

실기 난이도

 

 

 

전기공사기사 실기시험의 난이도는 상당히 어려운 편입니다.

 

주관식 문제와 서술형 문제가 출제되는 필답형 시험으로 필기시험보다는 난이도가 높고 공부에 대한 부담도 큰 편입니다.

 

객관식 4지선택형은 어느 정도 문제의 유형을 숙지하면 쉽게 풀 수 있는 반면에 실기시험은 풀이과정을 포함한 모든 내용을 직접 작성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필기시험보다는 좀 더 많이 공부하고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모의고사와 기출문제를 풀어보시면서 익숙해져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자주 출제되는 부분의 계산 방법이나 이론, 개념 등은 요약본 정리를 통해서 자세하게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공사기사 필기, 실기 시험 합격률과 시험의 난이도를 알아보았습니다.

전기공사기사의 취득을 고민하고 계시는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포스팅이었기를 빕니다.

 

반응형